"리소스가 부족해서요."
"우선순위가 낮아서요."
어 느 회사 어느 부서에서나 협업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말 아닐까요? 지금 있는 인원으로 주어진 일정을 소화하기에도 바쁘므로 당신의 요청은 당장 들어주기 어렵다는 의미이지요. 한정된 인원이 규칙적인 릴리스 사이클을 지켜가면서 기술 부채도 최소화하며 좋은 프로덕트를 만드는 것은 꽤 어려운 일입니다.
플랫폼 서비스를 만들면 엔드 유저가 둘 이상이기에 각 엔드 유저의 만족도를 올리면서 엔드 유저 경험 사이의 균형을 맞춰야 하는 등 복잡도가 부쩍 올라갑니다. 서비스가 잘 되기 시작하면 파트너들로부터 요구 사항이 몰려오며, 거절하기 힘든 큰 비즈니스 기회로 빠르게 대응해야 할 일이 갑자기 들어오기도 합니다.
사업부나 영업부는 서로 자신들의 요구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고, 그 사이 CEO가 갑자기 그날 떠오른 생각을 메신저로 덜렁 보낼 때도 있습니다. 프로덕트 팀 내에서도 하나의 컴포넌트 팀이 다른 팀의 컴포넌트에 의존해서 원활히 진행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
큰일입니다. 서론만 썼는데도 머리가 아파옵니다. 읽는 분들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.
우선순위의 등장
이런 첨예한 상황에 둘러싸이면 우선순위와 그 판단 기준이 중요해집니다. 경영진뿐 아니라 사업, 영업, 운영, CS, 프로덕트 팀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납득할 만한 우선순위의 기준이 있을까요? 프로덕트 책임자에게 우선순위의 결정 권한이 있으니 마음대로 결정하면 되는 것일까요? 우선순위가 높은 것과 낮은 것의 이유는 무엇이며 둘 사이에는 얼마나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?
저 역시도 일본의 최대 규모 배달 서비스 '데마에칸(Demaecan, 出前館)'의 쇄신을 진행하면서 450여 명의 프로덕 트 팀원들과 수천 명의 관계 부서 분들에게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명해야 하는 상황을 겪었습니다. 시달리는 느낌을 받을 때도 있었습니다.
어느 날 선배 한 분이 조언을 주었습니다. "양식을 하나 만들고 우선순위를 기계적으로 설정해 봐. 아무리 급한 요청이 와도 어떤 양식에 따라 '당신의 우선순위는 22번째입니다'라고 대응하는 프로덕트 팀도 있더라"라는 조언을 들었습니다. 그 양식을 제가 보지는 못했지만요.
며칠 후 우선순위를 논의하는 회의는 또 찾아왔고, 너무나 도망치고 싶던 그날 새벽에 제가 이 회사에 입사한 원인이었던 머신 러닝(OCR 기술로 다니던 스타트업이 피인수됨)이 떠올랐습니다. 머신 러닝에서 힌트를 얻었다지만 실은 통계학을 활용한 것인데요. 진행 중인 프로젝트 몇 가지를 Excel에 넣고 수식화해 보니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왔고 머리도 깨끗해지는 느낌을 받았기에 소개하고자 합니다.
제가 이번에 소개하는 우선순위 판단 공식은, 어쩌면 이런 주제의 시도 중 가장 기계적인 접근 방법입니다. 그리고 이는 여러 주관적인 변수와 판단을 최소화하면서 프로덕트의 높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입니다.
판단 가치 고르기 -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
매출을 올려야 합니다. 비용을 줄여야 합니다. 운영에 힘을 써야 합니다. 바이럴 효과를 높일 장치를 만들어야 합니다. 센스 있는 UX로 만족감을 높여야 합니다. 이처럼 서비스를 만드는 데에는 참 많은 욕망과 욕구가 있습니다.
모든 관점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싶지만, 몇 개로 줄이고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. 그래야 설명도 명료하게 할 수 있고 이해하기에도 쉽습니다. 그 과정에서 어떤 관점은 다른 무언가와 합쳐지거나 대체될 수도 있고, 상황에 따라 더 중요한 관점에 밀려날 수도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요즘은 IT 업계가 어려워지면서 어떤 서비스든 흑자가 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드는 게 중요해졌습니다.
합의를 위한 양식을 만드는 과정이므로 여러 스테이크 홀더의 의견을 들으며 나열하면 좋습니다. 하지만 모든 가치를 다 고려하면 끝이 없으니 판단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해 몇 가지로 추릴 필요가 있습니다. 제 경우 아래와 같이 선정했는데요. 하나씩 설명하겠습니다.
매출과 비용
프로덕트 메이커는 프로덕트만 집중해서 만들 때 제일 행복하지만, 비즈니스를 지속하기 위해 기본이 되는 매출과 비용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.
프로젝트마다 기대 효과로 매출이 얼마나 늘어난다거나 비용을 얼마나 삭감할 수 있다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검색 최적화 프로젝트를 진행해 검색 결과에서 구매로 이어지는 전환율이 1% 올라간다고 가정하고 예상되는 매출 향상을 말하는 식입니다. 비용을 줄이는 예시라면, 결제 회사를 변경할 경우 수수료를 몇 퍼센트 낮춰지므로 전월 매출 기준으로 얼마큼 절감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.
여기까지는 어렵지 않았습니다. 특히 사업에서 요청하는 안건이라면 이처럼 금전적인 기대 효과를 필수로 기입하도록 강제하면 좋습니다. 이렇게 두 개의 판단 기준(매출 상승, 비용 절감)은 어렵지 않게 정해졌습니다.